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완전탐색
- 정렬
- DP
- 객체지향설계
- 서버타임존설정
- aws
- web
- C++
- localdatetime
- ZonedDateTime
- 멀티모듈
- hashcollision
- 그리디
- STL
- DIP
- 구현
- google calendar api
- DFS
- 서버
- SW마에스트로
- 에러로깅
- 자료구조
- multi module
- EC2
- BFS
- 비즈니스요구사항
- OCP
- 개방주소법
- 해시충돌
- 탄력적 ip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Science (4)
레츠고✨

☠️ 데드락두 개 이상의 프로레스/스레드가 서로가 가진 리소스를 무한히 기다리게 되어 다음 처리를 하지 못하는 상태 데드락 발생 필요 조건 4가지데드락은 다음 4가지 조건이 동시에 성립될 때에만 발생할 수 있다.1️⃣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리소스를 공유해서 사용할 수 없다 = 한 번에 한 스레드만이 그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더보기📌 참고이 조건은 공유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프로세스/스레드 간의 동기화를 시키는 데에 필요한 조건이었다.하지만 이 조건이 아래 3가지 조건이 만나면 관련된 프로세스/스레드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는 데드락이 발생할 수 있다.2️⃣ 점유하며 대기 (Hold and wait)프로세스가 이미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취득한 상태(hold..

🌱 들어가기 전프로세스와 스레드는 병행 또는 병렬로 실행이 가능합니다.또한 프로세스 간 데이터 공유가 필요할 때에는 IPC를 사용할 수 있고,스레드 간 데이터 공유도 가능합니다.이런 배경에서 만약 여러 프로세스와 스레드가 같은 데이터에 접근하여 조작하려고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어떨까요?그런 상황에서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이 무너질 수 있는데, 이런 상황을 경쟁 조건이라고 합니다.경쟁 조건을 해결하기 위해서 프로세스와 스레드 간 동기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경쟁 조건과 동기화 개념✅ 경쟁 조건(Race Condition)여러 프로세스/스레드가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조작할 때 타이밍이나 접근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상황Process P1과 P2가 공유 데이터인 count에 동시에 접근하려고 할..

🌱 들어가기 전해시가 정확히 뭔지, 해시 테이블과 해시 맵이 뭐가 다른지, 해시 충돌은 언제 발생하는지 제대로 아는 것이 없어서이번 기회에 해시 자료구조에 대해서 공부하고, 해시 충돌이 발생하는 원인과 해결 방법, 언어별 해시 충돌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서 공부하고, 그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 해시 관련 용어 정리해시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이 헷갈려서 먼저 각 용어를 정리해보자Hash Function (해시 함수)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임의의 길이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단방향 암호화 기법이다더보기❓단방향 암호화 기법: 암호화는 수행하지만 복호화는 불가능한 암호화 기법Hash (해시) = Hash Value, Hash Code해시란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 들어가기 전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 왜 B+Tree를 사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진탐색트리부터 B-Tree를 먼저 알아보고 B+Tree가 무엇이 다른지 차이점을 비교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 이진 탐색 트리(BST)이진 탐색과 연결리스트를 결합한 자료구조로모든 노드의 왼쪽 서브트리는 해당 노드의 값보다 작고, 모든 노드의 오른쪽 서브트리는 해당 노드의 값보다 크다는 특징을 가진다 ✅ B-Tree이진 탐색 트리(BST)를 일반화 시킨 트리 구조이다. 이진 탐색 트리는 하나의 노드가 최대 2개의 자식노드만 가질 수 있고, 하나의 노드에 1개의 데이터만 저장 가능하다. 하지만 하나의 노드가 최대 M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도록 개념을 확장시켜 B-Tree 를 만들었다.따라서 이진트리와 다르게 하..